목록분류 전체보기 (192)
완숙의 블로그

Random Variables 랜덤 변수는 확률실험의 표본 공간의 원소인 결과들에 수를 부여하는 것이다. 여태까지 우리는 표본 공간, 사건과 같은 용어를 정립하고, 이 표본 공간과 사건에 대응되는 확률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공부했다. 그런데, 특정 사건을 관측했을 때, 내가 어떤 것에 목적을 두냐에 따라서 같은 표본 공간도 다르게 그룹화를 해서 판단을 해야한다. 예를 들어보자. 6개의 회로를 검사하여 합격(a) 인지, 불합격(r) 인지 관측하는 확률 실험을 생각하자. 이때, 각각의 관측은 6개가 나열된 수열로 나타낼 수 있다. (aaraar) 이 표본 공간 S는 64가지의 가능한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내가 만약 N은 합격받은 회로의 개수 라고 하면, 이것에 대한 결과는 {0,1,2,3,4,5,..

확률 모델에서는 개개의 사건에 0과 1 사이의 실수를 부여하고 이를 그 사건의 확률이라 한다. 상호배타적인 사건들의 합집합의 확률은 그 합집합을 구성하는 개개의 사건의 확률의 합이 된다. 저번까지 확률과 집합론은 연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Set TheoryProbability 부분집합사건전체집합표본공간원소결과 그렇다면 전체집합 S 에서, 각각의 부분집합인 사건에 대해 확률을 부가하는 일이 남아있다. Axioms of Probability 확률 P[.] 란 표본공간에서 정의되는 사건에 다음을 만족하는 실수를 부여하는 함수 이다. 공리1 : 임의의 사건 A에 대해서 P[A] >= 0 이다. 공리2 : P[S] = 1 공리3 : 상호배타적인 사건 A1, A2 ... 에 대해 이 공리 3개로 부터 모든 정의..

확률을 고등학생 때 공부해보기도 했고, 배우는데 크게 무리가 없었지만, 통계학을 공부해보면서 공리와 정의의 중요성을 느꼈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제대로 정리하고 시작해보려고 한다. 확률은 과정(Procedure)과 관측(observation)으로 이루어진 반복가능한 확률실험(Experiment)에 기반을 둔다. 여기서 관측된 것을 결과(Outcome)이라 하며, 결과의 집합을 사건(Event)이라고 한다. 과정, 관측, 확률실험, 결과, 사건의 정의가 애매하고 와닿지 않는다. 최종적으로 이 단어들을 예시를 통해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확률의 근본이 어떤 녀석인지 알아보자. 집합론을 확률에 적용하기 상호배타적 (Mutually Exclusive) 전체집합 S에 A_i 라는 집합들이 있을 때, 이것들이 위의 ..

지금까지, 정수, 실수 문자열을 다루는 법을 배웠다. 그런데 하나의 값 말고, 여러개를 다룰 필요가 있다면 어떡해야할까? 이런 용도를 위해 python은 리스트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특히 서로 다른 타입의 값과 변수 를 함께 다루면서 읽고/쓸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course = ["python", "javascript", "C++", "__reserved__"] print(type(course)) print(type(course[0])) >>> >>> 리스트를 이렇게 선언하고 나서, 리스트 자체의 타입을 출력하면, 리스트로 요소에 접근해서 타입을 출력하면, 스트링이라고 뜬다. 리스트 아이템 이해하기 course = [ "Python", "Javascript", "C++", "__reserve..

프로그램을 개발하다 보면, Python에서 제공하는 연관된 데이터와 함수들을 묶어서 사용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모듈처럼 단순하게 하나의 화일에 물리적으로 모아 놓는 개념을 넘어서서, 데이터 값과 함수가 상호 의미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의미있는 묶음을 의미한다. 이럴 경우 우리는 Class 라는 개념을 사용하게 된다. Method와 Class 개념 이해하기 지금까지 배운 함수의 형태를 정리해보자. Built-in functions : 파이썬 언어에서 기본 제공하는 함수 Functions inside modules : 모듈에 포함되어 모듈을 import 한후 사용하는 함수 (예: 모듈명.함수명()) Programmer defined functions : 프로그래머가 본인의 프로그램안에서 직접 만들어..

Python은 언어이기에 내장하는 기능들이 대부분의 프로그래머에게 필요한 필수적인 것들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특정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필요로 하는 기능은, 분야에 제한적이기에 Python 언어에서 기본 내장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수많은 프로그래머들은 본인이 풀고자 하는 문제에서 주요한 기능을 직접 만들고 서로 공유하는 접근을 하게 된다. 이게 모듈은 프로그래머들이 직접 유용한 함수 등을 작성하여, 다른 사람 혹은 본인의 프로그램 개발시 활용하고자 하는 일종의 별도 파일이다. 모듈의 타입을 쳐보면, module이라고 뜬다. import math type(math) >>> module 모듈안의 함수 호출하기 math.factorial(3) >>> 6 이렇게 어떤 모듈을 사용하는지, 쓰고 함수명을 ..

C++과 약간의 차이를 기억해야 하는데, 가장 핵심적인 것은 OR, AND 를 그대로 갖다 쓴다는 것이다. C++에서는 각각 && , || 로 사용했는데, 이것을 AND, OR 로 사용하면 된다. 문자열에서 특정 문자 갯수 세는 프로그램 개발하기 def calcCharacterFromString(sentence, inputChar): numChs = sentence.count(inputChar) return numChs sentence = 'Mary had a little lamb' inputChar = input("Enter the Char : ") calcCharacterFromString(sentence, inputChar)

문자열 할당 nameVar1 = 'Issac' nameVar1 = "Issac" 문자열 기본 연산자, 내장 함수 len() 입력 파라미터로 문자열을 전달 받는다. 길이를 결과값으로 돌려준다. + 두 문자열을 하나로 연결하여 결과값을 돌려준다. * 문자열을 뒤에 곱한 수만큼 반복한 형태의 문자열로 돌려준다. int() 입력 파라미터로 전달받은 문자열이 숫자로만 이루어진 경우 정수타입으로 변경하여 돌려준다. float() 실수 타입으로 바꿔서 돌려준다. 문자열 할당 시 ' 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 으로 감싼다. \' 을 사용한다. Print() 함수 print(value, ..., sep=' ', end='\n', file=sys.stdout, 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