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92)
완숙의 블로그

String library method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string word = "good"; word.length();// 길이 리턴 word.empty();// 빈 문자열인지 1, 0값 리턴 word.clear();// 문자열 삭제 word += "-bye";// 더하기 가능 word[0];// h word[word.length() - 1];// 마지막 단어 i word.find("a"); // 해당 문자열이 없으면 string::npos 리턴 return 0; } substr string word = "good-bye"; word.substr(2, 5); rand() rand()는 난수를 발생시키는 함수이다. 하지만 사실 자..

fstream Reading from file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string line1; string line2 ifstream myfile("input.txt"); if (myfile.is_open()){ if(!myfile.eof()){ // end of file 이 아니면 계속 진행. end of file 이면 1을 반환 fin >> line1;// 이렇게 쓰면 공백, 스페이스 기준으로 하나씩 들어간다! cout

기존에 작업한 글이 있어 링크로 대체한다. 선택문 반복문 1 반복문 2 iomanip library 기본적으로 iostream 라이브러리로 출력을 하게되면, 왼쪽 정렬이다. 그리고 내가 원하는 칸에 정렬하기가 힘든데, 이 라이브러리를 불러오고, sd::cout
우리는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내장 함수들에 대한 설명을 보고싶을때, help() 함수를 통해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내가 정의한 함수를 help() 를 통해 설명을 볼 수 있게 하는 것이 좋은 개발자의 방향이다. def convert_to_celsius(fahrenheit): """ (int) -> int #1 Return the celcius number from the given fahrenheit number. #2 >>> Return the celsius(212) #3 100 #4 """ #5 return (fahrenheit - 32) * 5/9 함수를 선언하고 """ 을 써준뒤 주석을 달아준다. 이때, 입력파라미터와 리턴값을 써준다. 함수의 설명을 써준다. 예제를 써준다. ..
파이썬에서 사용하는 변수는 객체를 가리킨다. 여기서 객체란 파이썬에서 사용되는 모든 것 을 의미하는 말이다. 이게 무슨말? 이 개념에 대한 직관적인 설명을 잘해둔 페이지가 있어 여기 소개한다. 객체란? 신기하게도, C 에서 변수를 선언하면 각각 다른 메모리 공간에 상수로 들어갔던 것과 달리 파이썬에서는 같은 객체를 가리킨다. 예제로 직관적 이해를 해보도록 하자. a = 3 먼저 이렇게 선언했을 때, 변수 a는 객체가 저장된 메모리 위치를 가리킨다. 또 오른쪽 3은, 정수 자료형 객체가 자동으로 메모리에 생성된다. 이렇게 보면 변수 a는 객체가 저장된 메모리의 위치를 가리키는 레퍼런스 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내가 같은 객체를 다른 변수를 통해 가리킨다면, 같다고 뜬다. >>> a = 3 >>>..
문자열 나누기 Pithon -> Python # 잘못된 예 a = "Pithon" a[1] = 'y' 불가능하다. 문자열의 요소값은 바꿀 수 있는 값이 아니다. # 옳은 예 a = "Pithon" a[:1] + 'y' +a[2:] 슬라이싱을 사용하여 새로운 문자열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슬라이싱을 할때 마지막 값은 미만으로 인식한다. 이런 방법을 사용하지말고, 기본 메서드를 사용하면 더 쉽게 가능하다. 문자열 관련 함수들 # 문자 개수 세기 a.count('b') # 위치 알려주기 1 a.find('b')# 있으면 처음으로 나온 위치 반환, 없으면 -1 # 위치 알려주기 2 a.index('t')# 있으면 처음으로 나온 위치 반환, 없으면 에러 # 문자열 삽입 a = "," a.join('abcd')#..
발표년도 : 1991 설계자 : Guido van Rossum, 네덜란드 패러다임 : 절차적 프로그래밍, 함수형 프로그래밍,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사용자층이 넓다. 다양한 플랫폼에서 쓸 수 있다. 라이브러리(모듈)이 풍부하다. 들여쓰기를 사용해서 블록을 구분한다. C/C++ 에 비해 수행 속도가 느리다. 철학 "아름다운게 추한 것보다 낫다." (Beautiful is better than ugly) "명시적인 것이 암시적인 것 보다 낫다." (Explicit is better than implicit) "단순함이 복잡함보다 낫다." (Simple is better than complex) "복잡함이 난해한 것보다 낫다." (Complex is better than complicate..
참조변수와 일반변수의 사용의 차이점을 알았다면, main 함수가 동작하는 도중 다른 함수를 호출할때, 그 함수의 인자 역시 두 종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반변수와, 참조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 두 변수의 값을 바꾸는 함수 swap 을 main 함수에서 호출하는 상황을 가정하고 비교해보자. Swap_callbyValu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swap(int a, int b){ int temp = a; a = b; b = temp; return 0; } int main(){ int x = 5, y = 10; c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