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92)
완숙의 블로그
참조변수는 내가 선언한 값을 동시에 가리킨다는 점에서 포인터와 유사한 측면이 있다.또 헷갈리는 점은,C에서 &의 사용은, 내가 저장한 변수의 주소값을 불러오는 용도로 사용했었다.그런데 C++에 와서는 이녀석을 참조변수로 사용할 수 있다고 하니 여간 혼동스러운게 아니다. 제대로 머릿속에 정리해보도록 하자. Diffrence between Pointer & Reference Variable C에서 포인터는 장단점이 아주 명확하다. 장점 : 메모리에 직접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단점 :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의 선택이 지배적이다. 즉, 아무렇게나 접근하여 잘못된 주소로 접근할 수 있다는 위험성이 있다. 포인터의 문제점은 선언과 할당을 나누기 때문에 발생한다.즉, #include int main(){ int x; ..
Recursion Function Factorial 같은 함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자기자신의 출력값을 다시 불러야 되는 필요성이 있다. 이것을 재귀함수라 한다. Exampl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factorial(int n); int main(){ cout
Local, Global Variables Local Variables 함수 안에서만 동작하고 함수가 끝나면 메모리에서 삭제된다. main 함수안에서 계속 살아있는 녀석이 아니다! main 함수도 함수 이기 때문에 main 함수 종료후 main 함수 안에서 선언된 변수는 사라진다. Global Variables 함수가 실행되기 전에 선언되는 변수 프로그램의 주가 되는 main 함수가 끝나기 전까지 항상 살아있는 변수이다. Example #1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x = 10;// 전역변수 int makeDouble(int param){// 4 int x;// 5 makeDouble 함수 안의 지역변수 cout
함수의 기본 모양 수학에서의 함수와 같이,input , output 이 있고, input 이 들어갔을 때,어떤 작업을 한 뒤, output 을 내보내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여기서는 input , output 에 아무 숫자나 넣어줘도 되지만,컴퓨터는 이 숫자 자체도 명시적으로 써줘야 하기 때문에,어떤 input 이 들어가는지, 예상되는 output 은 어떤 녀석인지 명시적으로 써줄 필요가 있다. Function in C++ int iSqrt(int p){// #1 return p * p;// #2 } int p :input 파라미터의 자료형은 integer 이어야 한다.int iSqrt :output 의 자료형은 integer 이다. 어떻게 작용하는지 적어주는 함수의 body 이다. Input, outpu..
Identifier Reserved Words 사용가능 문자 ABCDEFGHIJKLMNOPQRSTUVWXYZabcdefghijklmnopqrstuvwxyz_0123456789 예약어는 안된다. Variable Assignment #include int main(){ int x;// 메모리에 integer 자료형을 넣을 공간만들고, 그 이름을 x라 하겠다. } Variable, Constant C와 같으므로 링크로 대체하겠다.기본 자료형 Standard Input & Output 기본적으로 iostream 헤더파일을 가져와서 사용한다.iostream.h 헤더 파일은, c++에 있는 입출력을 위한 헤더파일이다.C언어의 stdio.h 와 같은 역할을 한다. 출력 (cout) #include int main()..
발표년도 : 1983 설계자 : Bjarne Stroustrup, 덴마크 패러다임 : 절차적 프로그래밍, 함수형 프로그래밍,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절차지향, 객체지향의 성격을 동시에 띄기 깨문에, 굉장히 유연하고 강력하다. 만능설계가 가능 하지만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Software Build Process & Tools Editor 대부분의 에디터는 신택스에러를 막기위해 색을 칠한 단어로 표기되는 경향이 있다. 에디터는 사용자가 프로그램의 소스코드에 들어갈 수 있게 허용한다. 신택스 에러가 뜬다면 컴파일이 되지 않는다. Pre-Processor 전처리기는 코드를 처리하기 전에 소스코드의 요소들을 수정하고 더한다. 보통 #include 를 사용해서 우리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정보를 가져온다...

블로그 이전합니다!! https://wansook0316.github.io 이 블로그는 개인적으로 공부한 내용들을 정리해 놓는 용도입니다! 그래서 최대한 남에게 설명하듯 작성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피치 못하게 그런 양질의 글이 되지 않을 때도 많은 것 같아요. 그렇게 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해보겠습니다! 제 생각대로 쓴 자료들임에도 불구하고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 찾는 자료들은 왼쪽 배너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혹시라도 잘못된 부분이나 궁금한 점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댓글 부탁드려요!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완숙의 에그머니🍳 얼떨결에 들어왔으니 이것도 인연 wansook0316.github.io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pgAdmin 4 라는 앱이 설치가 되었을 것이다. 이녀석을 클릭하면, 이런녀석이 뜰거다. sqlite를 써봤을 때와 같이 이녀석은 하나의 서버이다. 여기서 Sever 버튼을 누르고 그 아래 버튼을 누르면, 여기에 아까 처음에 기억해둔 패스워드를 넣어주자. 그럼 이런식으로 화면이 뜰텐데, 결국 이게 DB를 그래프로 깔끔하게 나타낸 상태이다. 이제 우리는 여기서 내가 데이터를 저장할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볼 거다! 실습 databases => create => Database 를 눌러주자.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의 이름과 내용을 담아주자. Owner 는 이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자, superuser, admin 으로 생각하면 된다. 저장을 눌러주면, Databases 에 새로운 데이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