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역학 (23)
완숙의 블로그
이전글 : 검사체적 장치 용어 & 열기관과 냉동 사이클 (Control Volume Devises' Terms & Heat Engine & Refrigerator Cycles) 다음글 : 혼합기계에서 압력, 부피, 온도 양상 (Pressure, Volume, Temperature Behavior of Gas Mixture) Maxwell Relations Total Derivative 의 성질을 사용한다. 4가지 Equation에서 이 성질을 사용하는데, 그 종류는 다음과 같다. 내부에너지 U(T,V) 엔탈피(Enthalpy) H(T, P) 헬름홀츠 방정식 (Helmholtz) A(T, V) 깁스 방정식 (Gibbs Equation) G(T, P) The Clapeyron Equation 상변화할 때 압..
Flow Rate Velocity Measurement) 유량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얘기다. 지금 까지 배운내용을 바탕으로 적용하는 것이므로 긴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Piping Network &Pump Selection 우리가 관을 매개로 한 시스템을 구성했을 때, 두가지의 손실이 발생한다고 배웠다. 주손실과 부손실이 그것인데, 우리는 여기서 회로도와 관 네트워크의 유사성을 알 수 있다. 유동을 일으키는 압력은 전압과, 그에 따르는 유량은 전류와, 이를 방해하는 손실을 저항과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총 옴의 법칙과 같이 이 값도 대응이 될 것이다. 또한 회로에서 직렬, 병렬 개념도 같게 대응이 될 것이다. 자 그런데 유체는 일정한 압력차가 있어야 고정된 유량으로 계속 흐를 수 있다. 하지만 현실을 유체가 흐름에 따라 해당위치에서 압력(수두)는 감소한다. 초기부터 엄청나게 큰 P를 파이프 입구에서 주면 되겠지만 현실적으로 힘들다. 따라서 중간에 압력을 추가..
Minor Loss & Flow Separation 주손실은 이미 공부했고, 이번에는 부손실에 대해 공부해보자. 부손실은 입구영역에서 발생하는 것도 포함하지만 더 주가 되는 유동박리에 의해서 일어난다. 유동이 관을 타고 지나갈 때, 관의 형태 때문에 부차적으로 생기는 손실을 의미한다. 낮은 속도에서 유체가 장애물을 지나갈 때는 만나는 면에서 유체의 초기속도가 작기 때문에 (벽면에서 속도 = 0, 그 바로위에서 속도가 작으므로 변화율도 작다) 점성응력(마찰이죠 사실) 이 작다. 그래서 끝면 까지 갈 수 있다. 그런데 빠른속도 일 경우 점성응력이 매우커진다. 그렇게 되면 끝점까지 가기전에 속도가 0이 되는 지점이 생기고 유체가 떨어져 나간다. 이 때 역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차를 역압력 구배(adverse p..
이전글 : 증기 원동 사이클 (Vapor Power Cycles) 다음글 : 맥스웰 관계식 & 클라페이롱 식 (Maxwell Relations & Clapeyron Equation) Refrigeration Cycles Power Cycle(Engine) vs Refrigeration Cycle 방향이 반대다! 1. Engine (시계 방향) : 일을 생산 액체 압력 높힘 (Pump) -> 액체에서 기체로(고압) (Boiler) -> 기체 압력 낮춤 (Turbine) -> 기체에서 액체로 (Condenser) 2. Refrigeration Cycle (반시계 방향) : 열을 제거, 공급 (Refrigerator, Heat Pump) 액체에서 기체로(저압) (Evaporator) -> 기체 압력 높힘 (C..
Moddy Chart & Colebrook Equation 무디 차트는 압력강하식에서 사용되는 f의 정체이다. 파이프에서 이 식은 로 정의되었었지만 사실 그렇게 만만하지 않다. 왜냐하면 레이놀즈 수에서 배웠지만 이 레이놀즈 수는 정해진 수가 아니기 때문이다. 유체가 운동하는 방향에 따라 변한다. 저 수는 유체가 측류라 가정했을 때 도출되는 식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되는가??? 파이프를 예로 들었을 때, 벽면으로부터 중심부로 갈수록 유체의 레이놀즈 수는 커진다. 에서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이다. 속도가 빨라지면 어떤 문제가 생기냐 난류유동이 생긴다.(후...) 그렇기 때문에 이건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따라서 우리는 유동이 흐를때 어디까지를 층류로 보고 난류로 볼건지 또 어떤 특징 때문에 그렇게 되는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