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92)
완숙의 블로그
Moddy Chart & Colebrook Equation 무디 차트는 압력강하식에서 사용되는 f의 정체이다. 파이프에서 이 식은 로 정의되었었지만 사실 그렇게 만만하지 않다. 왜냐하면 레이놀즈 수에서 배웠지만 이 레이놀즈 수는 정해진 수가 아니기 때문이다. 유체가 운동하는 방향에 따라 변한다. 저 수는 유체가 측류라 가정했을 때 도출되는 식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되는가??? 파이프를 예로 들었을 때, 벽면으로부터 중심부로 갈수록 유체의 레이놀즈 수는 커진다. 에서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이다. 속도가 빨라지면 어떤 문제가 생기냐 난류유동이 생긴다.(후...) 그렇기 때문에 이건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따라서 우리는 유동이 흐를때 어디까지를 층류로 보고 난류로 볼건지 또 어떤 특징 때문에 그렇게 되는지를..
Entrance Region or Entrance Flow 지금까지는 유동 양상에 대해 공부한 것은 외력의 합이 0이 되는 상황에서만 공부했다. 그렇다면 실제로 처음 유동이 이동할 때는 어떤 모습으로 생기는지 알아보자. 이 유동이 생기는 부분을 입구영역이라고 한다. 입구영역에서는 직관적으로 알 수 있듯이 같은 속도를 유지하며 유동을 주기 위해서 Fully developed 상황보다 더 많은 압력차를 가해야한다. 그래서 이 추가적인 압력 손실 때문에 이 부분은 부손실과 많은 관련이 있다. 입구영역의 가장 핵심은 유체가 갑작스럽게 관에 들어오게 되면서 벽면효과 때문에 벽에서 속도가 0이 된다는 점이다. 처음 들어올 때, 속도 변화가 가장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점성력 타우가 가장 클 것이다. 자 ..
이전글 : 왕복 사이클 (Reciprocating_Engines) 다음글 : 검사체적 장치 용어 & 열기관과 냉동 사이클 (Control Volume Devises' Terms & Heat Engine & Refrigerator Cycles) Vapor Power Cycle 열역학에서 가장 먼저 다루는 사이클은 카르노 사이클이다. 이 사이클 내에서 효율이 극대화 되기 때문에 가장 이상적인 사이클이기 때문이다. (가역과정일때) 하지만 이것을 현실화하기는 매우 어렵다. 가정 Turbine과 Compressor 안에는 2개 이상의 phase인 유체가 들어가는 것은 좋지 않다. 부식 발생, 효율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Power Cycle의 주 사용이유는 많은 일을 생산하기 위함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Tmax가..